취준생 여러분 ~ 안녕하세요.
'취업연구소- 내일의 취업왕' 인사드립니다!!
오늘은 2021년 상반기 KDB산업은행 1차 청년인턴 채용
자소서 문항을 분석하고자 합니다.
산업은행, 나아가 금융권 신입 지원에 관심 있는 취준생이라면
이번 기회를 통해 스펙을 챙기셔야 합니다.
이번 공고는 총 100명을 채용합니다.
은행일반, 디지털로 나눠 채용할 예정이기에
은행, 증권, 자산운용, 금공 등 정규직 지원에 앞서
밑바탕 경험을 다질 필요가 있겠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다만 인턴임에도 불구하고
서류 전형에서 2.5배수만을 선발하기에
자소서 작성에서부터 심혈을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취업연구소와 함께라면
서류 전형 합격은 그리 어렵지 않아요!!
자 본론으로 들어가서 이제 자소서 문항을 전격 해부하겠습니다.
- 1번 문항 : 지원동기(700자/직무역량)
- 2번 문항 : 금융 관련 교육·자격·경험 및 기타 활동을 포함한 역량개발노력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시오(800자/ 직무역량)
- 3번 문항 : 지금까지 살면서 가장 큰 난관으로 기억되는 경험과
그 상황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기술하시오(700자/인성)
- 4번 문항 : - 상기 KDB Way 중 본인과 가장 부합하는 것 한 가지를 선택하고,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본인의 경험, 교육, 경력사항 등을 들어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800자/인성)
1번 문항과 2번 문항은 금융권을 지원하게 된 동기,
그중에서도 KDB산업은행을 선택한 이유를 묻는다는 점에서
다소 까다로운 질문에 해당합니다.
기존에 금융권 준비가 전무한 상태에서는
작성이 쉽지 않으므로
우리는 미리 금융 스펙을 쌓아야 합니다.
한편 3번의 경우 어려움을 극복한 경험을 묻는
전형적인 템플릿 기반 문항입니다.
이는 여유있을 때 사전에 작성해놓는 것이 좋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7nrtvdFGMs&t=6s
※ 700자 문항은 최소 90%인 630자 내외 수준으로
글자 수를 채워야 합니다.
- 1번 문항 : 지원동기(700자/직무역량)
이번 자소서에서 가장 중요한 문항입니다.
결국 왜 많은 금융 회사 중 KDB산업은행인지,
타 금융 공기업이 아닌 산업은행을 와야만 하는 이유를 묻고 있습니다.
첫 1문단은 KDB산업은행이 사업 영역 중 1개를 선정한 후 그것에 매력을 느꼈고
또 전문성을 키우고자 지원했다는 흐름으로 작성하면 됩니다.
무턱대고 매력을 느꼈다~라는 식으로 쓰는 것은 아닙니다.
사전에 지원자 본인이 관리한 금융 준비 사항과 맥락이 비슷한 사업 영역을 선정해야 합니다.
더불어 2문단은 직무적인 포부를 드러내면 됩니다.
KDB산업은행에서도 특히 '00 직무(업무)에 관심이 있다.
그래서 인턴 과정을 통해 해당 일의 전문성을 키워보고자 한다'라는 식의 흐름을
가져가면 되겠습니다.
물론 2문단을 쓰기 위해서는 선배들이 실제 어떤 업무를 하고 있는지
사전 조사가 필요합니다.
- 소제목(20자) : 00 하고자 KDB산업은행에 지원했다
- 1문단(330자) : 00 사업 분야에 매력을 느낌 + 그간 준비한 사항을 언급하며 전문성을 키우고자 함을 어필(KDB산업은행 이력이나 설명은 최대한 지양)
- 2문단(350자) : 더불어 00 업무에 관심이 있다 + 입사 후 00직무 업무 포부 간단 소개
- 2번 문항 : 금융 관련 교육·자격·경험 및 기타 활동을 포함한 역량개발노력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시오(800자/ 직무역량)
소위 묻지마 지원은 아닌지 검증하는 문항입니다.
지원자가 금융권에 원래 관심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으로
착실하게 이력 관리를 했다면 쉽게 짚고 넘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무턱대고 모든 금융 이력을 나열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자소서 작성에 주의해야 할 점은 자기 자랑입니다.
'~했다, ~했고 ~도 했어요!!'
라는 식의 서술은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없습니다.
많은 이력 중 킬링 포인트가 될 소재를 선정하여
그것을 구체적으로 서술하는 것이 좋은 평가를 받는 지름길입니다.
이 문항에서는 크게 2가지 경험을 대범주로 잡고 서술하는 것을 추천하는 바입니다.
4번 문항에서도 동일한 흐름으로 작성하면 되는데
자신의 경험을 교내/교외 or 대내/대외 활동으로 나눠 구분하는 것입니다.
- 소제목(20자) : 00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K,S,A를 준비했다
- 1문단(380자) : 금융 관련 대내활동(교내 수업, 프로젝트, 학회, 동아리) 1~2개 요약 소개
- 2문단(400자) : 금융 관련 대외활동(대외활동, 자격증, 공모전 등) 1~2개 요약 소개
- 3번 문항 : 지금까지 살면서 가장 큰 난관으로 기억되는 경험과
그 상황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기술하시오(700자/인성)
템플릿 기반 문항입니다.
이 문항 작성에 30분 이상을 투자하시면 안 됩니다.
핵심 문항은 1번 지원동기와 2번 금융 준비 사항입니다.
어려움을 극복한 사례를 묻는 것으로
사전에 자신의 경험을 글로 정리해 복/붙해야 합니다.
다만 주목할 미사여구는 '가장'입니다.
보편적으로 봤을 때 누구나 겪을만한 어려움이 아닌
누가 봐도 '저건 좀 힘들겠다'라는 느낌이 들 수 있도록
구체적인 수치를 가미해 난관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 소제목(20자) : 상황 1줄 요약
- 1문단(380자) : 가장 큰 난관 경험 요약 소개 + 가장 어려운 이유 + 기타 배경 설명
- 2문단(400자) : 어려움 극복 과정 + 결과
- 4번 문항 : 상기 KDB Way 중 본인과 가장 부합하는 것 한 가지를 선택하고,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본인의 경험, 교육, 경력사항 등을 들어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800자/인성)
KDB WAY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다만 지원 직렬에 따라 추천하는 키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은행 일반 :
- 고객의 니즈를 최우선 : 고객 지향 / CS마인드 강조
- 소통하며 주도적으로 일하자 : 커뮤니케이션, 조직지향 인성 강조
- 현장에서 답을 찾자 : 적극성, 능동성, 배움의 자세 강조
- 전문가로서 대안을 제시한다 : 금융 전문성 강조
2. 기술 :
- 디지털 마인드를 갖자 : IT디지털 신기술 역량 강조
- 소통하며 주도적으로 일하자 : 커뮤니케이션, 팀워크 강조
- 전문가로서 대안을 제시한다 : 기술 전문성 강조
다만 선택한 KDB WAY의 근거 경험/경력이
2번 문항에 기술한 금융 준비사항과 겹치지 않도록
소재 선별을 잘해야 합니다.
- 1/2번 문항에 쓴 직무 에피소드 이외에 추가 직무 에피소드가 있다 → 금융/기술 일화 작성
- 1/2번 문항에 직무 에피소드를 써서 소재가 없다 → 소통, 외부 협력 등 인성 에피소드 작성
- 소제목(20자) : 선정한 KDB WAY 서술
- 1문단(380자) : 00 KDB WAY를 선택한 이유 + 관련 대내 경험(학부 수업/동아리,학회/프로젝트 등)
- 2문단(400자) : 관련 대외 경험(인턴/공모전/대외활동 등)
이상으로 2021년 KDB산업은행 청년인턴 채용
자소서 문항 분석을 마치겠습니다.
앞으로도 '취업연구소-내일의 취업왕'은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니
많이 많이 사랑해 주세요.
https://www.youtube.com/channel/UCwICZBBgjJo-9yx2sHpm-SA?view_as=subscriber
취업연구소 - 내일의취업왕🎉
취준생 여러분을 밀착 코칭해드립니다. '취업연구소'는 수십 번의 대기업 면접 경험과 합격 이력을 보유한 현직자 그룹입니다. 더이상 취업에 큰 돈을 투자하지 마세요. 방법만 터득한다면 누구
www.youtube.com
오픈 카톡방 또한 운영하고 있습니다.
취업 준비법에 대해 닥터들이 직접 답변해드립니다 :D
https://open.kakao.com/o/gJNIH2xc
'취업 성숙기 > 자소서 작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용 공고] KGC인삼공사 7급 신입 채용 자소서 쓰는 법, 양식 공유합니다. (0) | 2021.03.01 |
---|---|
[채용 공고] 한국수자원공사 체험형 인턴/신입사원 자소서 쓰는 법, 양식 공유합니다. (0) | 2021.02.11 |
[채용 공고] KT Skylife, KT commerce 자소서 쓰는 법, 양식 공유합니다. (0) | 2021.02.09 |
[채용 공고] 한국전력공사 체험형 청년인턴 자소서 쓰는 법, 양식 공유합니다. (0) | 2021.02.06 |
[채용 공고] 한진 물류종합직 신입 자소서 쓰는 법, 양식 공유합니다. (0) | 2021.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