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으로부터 시원하게 독립하는 그날까지~
안녕하세요, 취업 닥터 수박이에요.
오늘 취업연구소는 대학교 1학년 학생이 취업을 준비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두근 두근 두근!!!!
1학년은 취업 준비에 앞서서 항상 본인을 알기 위한 고민을 많이 해야 해요.
자신의 성격이 내향적인지, 외향적인지,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이고, 반대로 어떤 것을 잘하는지,
그리고 흥미를 느끼는 분야와 관심이 없는 분야는 무엇인지등을 생각해보세요.
좋아하는 것이나 흥미 있는 분야를 찾기 힘드시다면
역발상으로 자신이 싫어하는 것을 소거하는 방법으로 접근하시면 좋답니다.
충분히 고민하셨다면 이를 검증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과 경력을 쌓고자
외부 활동을 해야 합니다~!
자~ 이제
교내 활동과 교외 활동으로 나눠서 취준 사항을 체크하도록 할게요.
우선교내 활동이에요.
솔직히 1학년은 취업을 본격적으로 준비하는 시기가 아니기 때문에
기본에만 충실하면 된답니다!
학점을 관리하고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교수님/선배 관계를 잘 구축하고~!
기초 내실을 키우시면 좋아요.
학점은
입사 지원할 때 공기업은 전공 이수과목 10개의 학점을 기입하도록 설정되어 있어요.
사기업의 경우 아예 총점과 전공 학점을 각각 기입한답니다.
따라서 학과 생활의 성실성을 나타내는 학점은 높을수록 좋습니다.
여기에 대한 취업연구소의 판단은!!!!
4.5 기준 3점 중후반은 꼭 받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대인관계 측면에서는 많은 선배를 알아두세요.
선배들이 먼저 사회에서 일할 것이기 때문에
본인의 어떤 산업군과 직무에서 근무가 가능한 지 가늠이 된답니다.
한편 동아리는 약 1년간 활동할 수 있는 1곳에서 활동하시면 좋습니다.
이때 전공학술 동아리보다는 외향적인 동아리에서 활동하시면서
자소서에 담을만한 에피소드를 적립하시는 게 좋아요.
축구/야구와 같은 스포츠
춤, 마술 등의 공연
봉사활동 동아리 등에서 활동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학년 때 외향적인 동아리에서 1년 활동하시고
나중에 2~3학년 때는 마케팅이나 인사, 공학 학회 등의 전공 동아리에서
추가로 활동하시면 자소서 작성할 때 기초 글감이 부족한 사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교외활동분야입니다.
여기서 연합동아리나 대외활동은 필수가 아니에요~
교내 활동에 전념하시면서 뭔가 추가 활동을 해보고 싶다고 생각이 들 때
연합동아리나 대외활동을 하시면 된답니다.
연합동아리는 본인이 속한 모교 이외의 인맥을 쌓고 싶을 때,
대외활동은 기업 소속의 사회 활동을 해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어요.
예를 들어 아모레퍼시픽에서 서포터즈 활동을 했다고 가정을 한다면,
나중에 LG생활건강이나 한국 콜마 등 생활용품이나 뷰티 회사에 입사 지원하실 때
좋은 자소서 글감이 되겠지요.
한편 기본 자격증 부분은 상경계 분들은 필수로 취득하셔야 합니다!!
나중에 부랴부랴 3~4학년 때 돼서 취득하시기엔 시간적인 여유가 많지 않아요.
우선 컴활 1급이랑 한국사 1급은 무조건 취득하세요.
공기업 서류 가점이 들어가는 자격증들이고 사기업 지원할 때도 자격증 기입란에 선택이 가능합니다~
공대생분들도 공기업 지원 시 동일하게
공통 분야의 자격증 가점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으니
컴활 1급과 한국사 1급은 꼭 챙기도록 합시다!
추가적으로 여유가 된다면 토익을 응시해보시거나
한자 자격증 정도를 부가적으로 취득하면 좋습니다.
자, 1학년 때 어떤 것들을 해야 하는지 감이 오셨나요?
이제 이것들을 언제 실행해야 하는 지? 궁금하신 분들이 계실 겁니다.
1년 주기로 어떻게 준비하는 지 궁금하시다고요?
그렇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취업연구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양질의 취업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답니다.
'취업연구소 - 내일의 취업왕'은 취준생 여러분을 위해
자소서 작성 / 인적성NCS / 면접 준비와 관련해 최적의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C2_SvClRmk&t=10s
다음 콘텐츠도 기대해주세요^^
여러분의 빛나는 사회 생활을 취업연구소가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취업 입문기 > 기초 뼈대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업] 공기업과 사기업 채용 준비, 병행이 가능한가요? (0) | 2021.01.30 |
---|---|
대기업 직장인의 공통점이 있다. (0) | 2020.09.28 |
대학교 학년별로 취업을 준비하는 방법을 공개합니다(취업하고 싶은 대학생 모두 모여라) (0) | 2020.09.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