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 입문기/기초 뼈대잡기

대학교 학년별로 취업을 준비하는 방법을 공개합니다(취업하고 싶은 대학생 모두 모여라)

by 취업연구소 - 내일의 취업왕 2020. 9. 11.

 

 

 

취준생 여러분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구직 활동을 도와드릴 '취업 연구소 - 내일의 취업왕'인사드립니다.

오늘은 닥터 수박과 함께 학년별로 어떻게 취업을 준비하는지 알아볼게요

우선 취준에 앞서서 여러분이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할 부분이 있어요.

 

지피지기 백전백승이라 하여 상대방을 알고, 나를 알아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답니다.

따라서 자신이 어떤 성향의 사람인지, 또 어떠한 활동을 선호하는지 내/외부 분석을 해야 해요.

 

'내가 진짜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일까?' 반대로 '잘하는 일은 무엇일까?'

 

틈틈이 고민하시길 바랍니다.

일이라는 게 사실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게 굉장히 어려워요~

사업을 하는 사람이라도 자신의 사업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는답니다.

따라서 자기가 능력을 가지고 있고, 또 타인으로부터 잘한다고 얘기를 듣는 분야가 무엇인지 탐구하세요.

마지막으로 충분히 고민했다면 이제 행동하셔야 해요.

나를 이해하고, 나의 성향을 알게 되면 그것이 진짜 맞는 판단인지 검증해야 한답니다.

 

동아리/대외활동 경험을 1~2학년 때 쌓으시고,

고학년 때 인턴 등의 실무 경력을 만들면서 적성과 진로 설정을 해야 해요.

 

그럼  1학년부터 4학년까지 각 학년별로 어떠한 사항을 준비해야 하는지 말씀드릴게요.


.

다양한 진로 탐색이 가능한 1학년이에요.

대학교에 입학하자마자 스펙을 쌓으라고 강조하고 싶진 않아요.

다만 기초적인 것을 미리 챙긴 후에 학업과 사회 활동에 집중하면 좋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어요.

 

우선 총 학점과 전공 학점을 무조건 챙기세요.

더불어 네트워크를 구축해 진로를 고민하셔야 해요. 학교 선배 및 대학교 교수님과 대화를 많이 나누면 좋습니다.

교수님은 학구적인 측면에서, 선배는 현실적인 측면에서 조언을 많이 해줄 거예요.

 

그리고 꼭 공연이나 체육 등 외향적인 동아리에서 활동하세요.

여러 명의 사람과 함께 단체 생활을 하면서 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능력까지 챙길 수 있어요.

이게 나중에 면접장에 가실 때 태도적인 측면에서 굉장한 도움이 된답니다.

 

마지막으로 기초가 되는 자격증을 미리 취득하시면 좋아요.

한국사나 컴퓨터활용능력 1급은 공기업 지원하실 때 서류 가점으로 작용하는 자격증이에요.


 

2학년이 되셨을 때도 학점은 무조건 챙겨야 해요.

대다수 사기업의 경우 학점을 기입하게 되어있으며, 낮은 학점일 때는 면접에서 공격적인 질문을 받을 수 있어요.

 

또한 1학년 때와는 다르게 전공 지식을 실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학술 동아리에 가입하셔야 해요.

예를 들어, 경영학 전공이면 전략이나 마케팅, 인사 등 다양한 곳에서 활동할 수 있어요.

공학 전공이시면 학회에서 활동하면서 전공 실험을 한답니다.

 

학술 동아리에서는 보통 분기나 반기에 1번씩 프로젝트를 진행해요.

이게 나중에 자소서 작성할 때 직무 전문성을 어필하는 주요한 에피소드가 된답니다.

인턴 활동을 하지 않으셨다면 꼭 학술 동아리는 챙기세요.


더불어서

3~4학년에 준비해야 하는 내용이 궁금하시다고요?

그렇다면 '취업 연구소 - 내일의 취업왕'유튜브 채널에 방문하셔서 영상 확인해주세요^^

취업 준비와 관련된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dgxrf_nfIg&t=532s

 

 

취준생 여러분이 취업으로부터 시원하게 독립할 수 있도록 취업연구소가 함께하겠습니다.

오늘도 파이팅!

 

댓글